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태극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우리나라 국기일 것이다. 태극기의 출생 배경에는 1882년 제물포에서 조인된 조미조약이 있다. 이때 급하게 국기가 필요하게 되었고 조약을 총괄한 슈렐트에 의해서 7월 각 해상 국가들의 깃발이 수록된 미 해군 서적에 현재 태극기의 기초 모양을 급히 만들어 Corea Ensign이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고 한다. 이때 일본 수신사로 파견된 박영효에게 고종의 어명이 떨어져 태극기를 만들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중국의 마건충은 조선의 국기가 없으니 당시 중국의 국기와 비슷하게 삼각형 청색에 용을 그려야 한다고 강요했지만, 고종은 이 의견을 따르지 않고 1883년 당시의 태극기를 조선의 국기로 공포한다.  

 

태극기 디자인의 유래는 이렇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1876년 강화조약을 맺기 위한 회의 도중 일본 측에서 조선의 국기는 어떤 것인가를 물어왔다. 이때 통번역을 담당했던 외교관리였던 오경석이 국기가 없어, 개성에 있었던 유수영 정문에 그려져 있는 태극 모양에 착안해서 그린 것이 우리 국기의 유래라고 한다.

 

이후 여기저기서 사용되었던 태극기 모양이 제각각 달라 1949년 10월 15일 현재의 태극기가 국기제작법고시로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고 한다. 태극기 모양을 이해하려면, 1/2, 1/3, 1/4, 1/12, 1/24 비율과 의미를 알아야 한다.  

 

밝음, 순수, 평화의 상징인 흰색 바탕에 빨강과 파랑의 태극으로 음과 양의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한다. 거기에, 자연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하늘·땅·못·불·지진·바람·물·산 등을 상징하는 팔괘를 합친 그림이다. 감히 다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풍부한 동양의 문화와 심오한 철학이 내포되어 있다.  

음과 양을 합친 태극의 일원화와 건(乾), 곤(坤), 감(坎), 리(離) 즉, 하늘과 땅, 물과 화를 담아낸다. 이를 기초로 사상체질, 태양, 태음, 소양, 소음을 나타낸다. 침, 구, 약의 병리적 접근은 칠서(사서삼경), 사군(대학, 중용, 맹자, 논어), 삼경(시경, 서경, 역경)에서 시작되고, 이들은 태극, 음양, 사상, 오행, 팔괘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공자의 계사상전(繫辭上傳) 제11장에는 “역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 음양)를 낳고 양의가 사상(四象; 太陽, 少陽, 太陰, 少陰)을 낳으며 사상이 팔괘(八卦: 乾☰, 巽☴, 坎☵, 艮☶, 坤☷, 震☳, 離☲, 兌☱)를 낳는다고 했다. 낳고 낳음을 역이라 하고, 태극이 역이며 역이 곧 태극이다. 음과 양의 조화를 유지하면서 건강한 4월을 보내시길 바란다.

 

 

케이한의원 윤규탁 원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77 신앙칼럼- 내 인생의 자화상 hherald 2024.08.19
3076 김준환 변호사 칼럼 -잭슨 홀 미팅 hherald 2024.08.19
3075 피트니스 칼럼- 콜레스테롤! 아직도 나빠다고 생각하십니까? file hherald 2024.08.19
3074 요가칼럼- 한줌 허벅지 만드는 5분 레전드 하체 스트레칭과 운동 file hherald 2024.08.19
3073 부동산 상식- 2024년 영국 주택 매매시장 동향 hherald 2024.08.19
3072 헬스벨 - 목이랑 어깨가 왜 이렇게 아픈가 hherald 2024.08.19
3071 이안정 원장의 '영국 사회복지 이야기'- 장애인 자립 수당(Personal Independence Payment, PIP) (4) hherald 2024.08.19
3070 런던통신- '런더너’들도 모르는 런던의 명소 hherald 2024.08.19
3069 요가칼럼- 얼굴, 전신 붓기 쏙 빼주는 운동과 스트레칭 file hherald 2024.08.05
3068 피트니스 칼럼- 플랭크 완전정복 file hherald 2024.08.05
3067 이안정 원장의 '영국 사회복지 이야기'- 장애인 자립 수당(Personal Independence Payment, PIP) (3) hherald 2024.08.05
3066 영양치료칼럼- 간과 담낭에 좋은 음식 hherald 2024.08.05
3065 런던통신- 영국 보수당의 반성문 “리더보다 노선이 먼저다” hherald 2024.08.05
3064 김준환 변호사 칼럼 - 파리 빵지순례 hherald 2024.08.05
3063 헬스벨 - 조선 왕실의 3대 명약 hherald 2024.08.05
3062 부동산 상식- 임대용 부동산 투자, 수익률이 가장 높은 부동산 유형은? hherald 2024.08.05
3061 신앙칼럼- 너와 나의 만남 비로소 우리가 된다 hherald 2024.08.05
3060 런던통신- ‘참패’ 보수당은 14년간 ‘일상’을 해결 못했다 hherald 2024.07.22
3059 신앙칼럼- 책갈피너와 함께라면 hherald 2024.07.22
3058 부동산 상식- 전대(Subletting), 집주인과 협의하셨나요? hherald 2024.07.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