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영국 정부는 지난 2월 ‘표현의 자유 수호자(free-speech champion)’라는 이름의 직책을 교육부 외청인 ‘대학생교육청(Office for Students)’ 안에 신설했다. 중세의 시대착오적 명칭 같은 이 직책은 대학교 내에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해 불이익을 당한 구성원들을 도와 표현의 자유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표현의 자유가 침해받는 경우가 생기는지 감독하고, 최악의 경우 벌금을 부과할 수 있는 권한까지도 부여했다. 이런 직책 신설이 필요했던 이유는 가장 활발하고 자유로워야 할 대학의 표현의 자유가 극심하게 침해받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표현의 자유 수호자’ 신설을 통해 대학과 대학 내 연구기관, 학생 단체들에서 만연하고 있는 ‘침묵과 검열(silencing and censoring)’ 풍조를 막겠다는 것이다.
   
   영국의 보수우파 지식인들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가장 큰 적을 ‘시대정신’으로 평가받는 정치적 공정성(politically correctness), 각성 문화(awake culture), 문화 전쟁(culture wars), 역사 전쟁(history wars), 취소 문화(cancel culture) 등이라고 규정한다. 이런 시대 사조에 맞지 않는 의견은 ‘열린 토론(open debate)’의 기회마저 갖지 못하고 팽당한다는 것이다. 특히 대학 내에서 보수우파적 시각은 연구나 발표 기회를 제공받을 가능성조차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면 대영제국 시절 식민지를 경영하던 ‘동인도회사’ 연구는 무조건 적폐로 보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런 주제의 논문은 채택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이를 연구하는 학자는 학계에서 왕따를 당할 정도로 대학 구성원의 성향이 진보좌파 일색이라는 것이다. 제국주의와 식민제도의 옳고 그름을 떠나 다양한 의견이 존재해야 할 대학 내에서 침묵과 검열의 압력이 가해지면 자유로운 학문적 의견 개진과 활발한 토론이 ‘냉각효과(chilling effect)’를 만들어낸다고 영국 교육부는 지적했다. ‘표현의 자유 수호자’ 직책 신설의 목적이 바로 이 냉각효과를 막으려는 이유라고도 했다. ‘냉각효과’는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Black Lives Matter·BLM)’ 운동을 계기로 시작된 ‘역사 재해석 운동’의 여파로 표현의 자유가 침해받는 상황에서 많이 쓰이는 문구이다. 예를 들어 표현의 자유가 침해받으면 ‘창작 의욕이 냉각되는 효과를 자아낸다’는 식으로 쓰인다.
   
   
   옥스퍼드대에서 번진 역사 재해석 논쟁
   
   사실 이런 분위기는 최근의 각성 문화나 BLM운동 이전부터도 영국 대학 내에서 번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역사 재해석 논란이 2015년 시작된 옥스퍼드대학교 오리얼칼리지의 거액(시가 1250만파운드·187억원) 기부자 세실 로즈 석상 철거운동이었다. 이 철거운동은 단순해 보이지만 영국 역사 전쟁의 가장 상징적인 실례로 상당한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세실 로즈는 대영제국의 대표적 인물로 극단적인 백인우월주의자이고 엄격한 식민정책과 인종차별 성향을 보인 것으로 유명하다. 대영제국을 지탱한 성공적 식민지 경영의 사례를 논할 때 제일 먼저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지금은 짐바브웨로 국명이 바뀌었지만 그의 이름을 딴 남아프리카의 ‘로디지아’라는 국가가 1979년까지 존재했을 정도이다. 오리얼칼리지 졸업생인 그가 유산으로 남긴 거액으로 조성한 것이 유명한 로즈 장학금인데 장학생 중에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과 미국 컨트리음악 가수이자 배우인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등이 있다. 그런데 칼리지 내 로즈하우스 건물 정면 벽에 있는 로즈 석상을 식민지에서 저지른 악행, 특히 노예무역을 통한 치부와 흑인들에 대한 학대를 이유로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전부터 있어왔다.
   
   로즈 석상은 학생들의 청원에 따라 2016년 한 번 철거가 결정됐다가 번복된 바 있다. 그러다가 2020년 BLM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번질 때 다시 불이 붙어 특별위원회가 결성돼 철거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위원 대다수는 1902년에 세워진 석상 철거를 찬성했지만 학교 측은 ‘경비와 잡다한 건축법규 문제’를 거치면서까지 철거를 하지 말자는 입장이었다. 결국 지난 2월 중순 현 위치에 보존하는 것으로 결정을 내렸다. 국가 2급 문화재인 역사적 건물에 손을 대려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건축허가와 충분한 이유, 정당성 등이 있어야 한다는 현실적 어려움도 있긴 했지만 역사 수정 시도를 정면에서 반대하지 않고 세월에 판단을 맡긴다는 깊은 뜻도 있었다.
   
   당시 오리얼칼리지 학장은 이런 말을 했다. “우리들의 결정이 영국을 비롯한 해당 국가에 주는 영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하고 있다. 우리들의 미묘한 결정이 어떤 이들에게 실망이 됨을 잘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흑인과 소수인종 학생들이 겪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일에 보다 더 집중하고자 한다.” 그는 그러면서 “차라리 철거 경비와 노력을 대학 공동체 내의 소수인종 학생들에 대한 교육의 균등과 다양성, 포용성의 성과를 내는 데 쓰도록 노력하겠다”라고도 했다. 당연히 진보좌파 성향의 옥스퍼드대학 교수들과 옥스퍼드 시의원들을 비롯해 영국 지식인 사회는 오리얼칼리지의 결정을 극렬하게 비난했다.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과거와 결별하고 새로운 미래의 일원이 되려면 과거 치욕의 상징들을 제거하여 희생자 국가의 국민들에게 영국의 각오를 보여주어야 한다”라는 주장이었다.
   
   
   ‘우리의 역사로부터 도망쳐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영국 교육부 장관은 오리얼칼리지의 ‘분별 있고 균형 잡힌 결정’을 칭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우리들의 역사를 검열할 일이 아니라 과거에서 배워서 불평등을 줄여나가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사실 ‘역사 재해석 운동’에 대한 영국 정부의 입장, 특히 보수당 정권의 반대 입장은 확실하고 확고하다. “영국 역사가 아무리 공정하지 못했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이제 와서 그 위에 세워진 우리의 모든 역사로부터 도망치거나 말살해서는 안 된다”가 공식 입장이다. 심지어 문화언론체육부 장관은 “영국의 기반을 무너뜨리려는 시끄러운 소수의 활동가로부터 우리들의 문화와 역사를 방어하겠다”라고까지 했다. 실제 영국 정부는 ‘문화자연유산 보존재단(National Trust·NT)’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식민지 시골 계획(Colonial Countryside Scheme)’을 ‘자라는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국가 역사가 수치스러웠다는 쪽으로 가르치는 일방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이유로 강력히 반대했다. 이 프로그램은 15만파운드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영국 식민지 역사와 노예무역의 흑역사를 학생들에게 가르치자는 것이었다.
   
   영국 정부가 ‘표현의 자유 수호자’라는 생뚱맞은 직책을 만들어냈을 정도로 영국은 대학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표현의 자유가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시대사조에 어긋나는 보수우파적 견해나 의견을 발표하면 당장 사회적으로 매장될 정도의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 그만큼 영국 지식인 사회나 문화계, 학계, 예술계를 진보좌파가 점령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영국의 지식인 중 보수우파적인 견해를 발표하려면 상당한 용기와 각오를 다져야 한다. 특히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시대정신에 어긋난 발언을 하면 바로 ‘취소 문화’의 희생자가 되어 치도곤을 치르게 된다.
   
   판타지소설 ‘해리포터’ 작가인 조앤 롤링의 경우를 보자. 대표적인 보수우파 지식인으로 평가받는 그녀는 트랜스젠더(성전환) 여성에 대한 혐오표현을 공개적으로 해서 영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문화계와 지식인 사회로부터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롤링은 그래도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주위 눈치를 보지 않고 계속 밝히며 행동까지 한다. 롤링은 2014년 스코틀랜드 독립 투표 때는 반대운동 단체에 100만파운드를 기부해서 가장 큰 기부자로 기록되기도 했다. 또 자신이 작가로 성공하기 전 이혼녀로 아이를 키우면서 글을 쓸 때 국가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면 굶어 죽었을 것이라면서 엄청난 인세수입에도 불구하고 소득세 절세를 위해 조세회피 지역으로 가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한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면 바로 행동하는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진보적인 시대사조에 따라 영국 역사를 부정하는 역사 재해석 운동은 유명 자선단체인 베르나르도 어린이재단 같은 공익법인들에 의해서도 많이 시도되고 있어 영국 정부의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 그래서 문화언론체육부 장관이 25개 대형 자선단체장들을 불러모아 놓고 ‘소수의 행동에 의한 정치적 목적의 역사 재해석 운동의 위험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기까지 했다. 또 재단 관계자들 앞에서 이런 우려도 전달했다. “우리는 자랑스럽고 확신에 찬 나라의 역사를 직시해야 한다. 결코 역사로부터 도망쳐서도 안 되고 정치적인 목적을 가진 소수에 의해 자의로 수정해서도 안 된다. 역사란 도덕적으로도 복잡다단하기 마련이라 지나치게 단순화해서 설명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다 보면 우리들의 전 세대가 이룬 수많은 성취는 묻히고 그들이 저지른 잘못만 비난받는 일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렇게 해서 우리들의 불편한 요소들만 제거하다 보면 결국 우리들의 과거를 제대로 이해조차 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른다.”
   
   영국 공익법인과 자선단체의 설립 근거가 되는 공익법인법에 의하면, 자체 강령에 따르는 활동만 해야지 다른 정치적 목적을 가져서도 안 되고 정치활동을 해서도 안 된다. 또 특정 정당과 연계되어서도 안 된다. 특히 회원들의 회비와 자선모금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정치적 목적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돼 있다. 영국의 16만8000개의 사회운동단체, 자선단체, 종교단체를 관장하고 감독하는 독립기구인 ‘공익법인감독기구(Charity Commission)’ 위원장은 이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한다. 그는 “좁은 편견에 사로잡힌 익명의 개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적들과의 투쟁의 장으로 악용하려는 요구에 사로잡히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또 “사상적인 독단(ideological dogma)과 각성의도(woke agenda)에 기인한 역사 재해석 활동에 특히 문제가 많다”고 지적하면서 “자선단체들은 특정 사안에 대해 도전할 수도 있고, 사안을 흔들어 뒤집을 수도 있고, 심지어는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 그러나 자선단체는 사람들을 가르는 갈등을 유발해서는 안 되고 할 수 있어서도 안 된다”고 했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보존하고 설명하는(retain and explain)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 그는 “역사적인 동상 같은 기념물들은 역사적 가치와 함께 정서적이고 상징적인 가치(emotional or symbolic value)도 중히 여겨야 한다”는 주문도 했다. “만일 동상 같은 문화적 유산을 단순히 당대의 정치적 공정성에만 의거해 철거한다면 과연 우리의 역사적인 기념물 중에 남아 있을 것이 몇 개가 될 것인가”라는 지적이다.
   
   
 

   도 넘은 ‘소수’에 대한 피로감
   
   실제 지난해 6월 미국 조지 플로이드 사망과 관련해 벌어진 소요 와중에 영국 중부 브리스톨시 항구의 노예무역 상인 에드워드 콜스턴 동상을 군중들이 끌어내려 바다에 던진 적이 있었다. 또 카디프와 에든버러의 흑인 노예상인들의 동상이 철거되는 사태를 맞기도 했다. 데번에 있는 영국의 영웅 중 하나인 프랜시스 드레이크 동상마저 그가 노예상인이었다는 이유로 철거 논의가 있었을 정도다. 심지어는 런던 중심가 국회의사당 정면의 윈스턴 처칠 동상마저도 제국주의의 원흉이고 인도를 탄압했던 인종차별주의자라는 지탄을 받으며 동상에 낙서를 하고 군중들에 의해 철거 움직임까지 있었다. 2002년 BBC 여론조사에서 100만표 중 44만7000표를 받아 가장 위대한 영국인으로 뽑힌 영웅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당시 런던시장도 세상의 분위기에 휩쓸려 “런던 내 모든 동상과 기념물들을 재평가하는 작업을 시작하겠다”고 말한 적이 있었다.
   
   물론 파도가 지나가자 재평가 작업은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브리스톨항구의 노예상인 콜스턴의 동상도 바다에서 다시 건져 현재 시 박물관에 전시돼 있고 철거 주동자 4명은 재판을 받고 있다. 만일 유죄 판정을 받으면 10년 이하의 형을 살아야 한다. 사실 콜스턴 동상은 그가 브리스톨시에 기부를 워낙 많이 해서 시민들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지금도 브리스톨 시민들이 혜택을 누리는 건물들이 그의 기부로 지어졌다. 생전에는 자선활동 때문에 브리스톨 시민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옳은 일도 과해져 도를 넘으면 옳은 일이 아니라 해를 끼치게 된다. 영국에서도 도를 넘는 정치적 공정성뿐 아니라 각종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라는 각성 운동, 지구의 위기를 일깨우려는 기후환경 운동 등에 이제 피로감(fatigue)을 호소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자신들만이 세상을 구한다면서 도덕적 우위를 점한 듯한 ‘소수’에 대한 반발이 많다. 한 여론조사에서는 49%의 영국인이 5년 전에 비해 자신들이 생각하는 바를 말하기가 어렵다고 느낀다고 했다. 한쪽의 주장이 워낙 여론 주도층을 장악하고 있다 보니 결국 영국 사회에서 ‘열린 토론’의 가능성이 없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취소 문화’가 워낙 거세서 감히 반대 의견도 발표하지 못한다. 이런 세태에 대해 우파언론 선데이텔레그래프는 ‘자유롭게 말하지 못하다 보면 자유롭게 생각하지 못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대학과 학계, 연예계, 문화계가 ‘사상경찰(the thought police)’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는 한탄도 나온다.
   
   세계 지성들이 ‘열린 토론’이 사라지는 세상에 대해 얼마나 우려하는지는 2020년 7월 7일 미국 하퍼스 잡지에 실린 ‘정의와 열린 토론에 대한 편지(A Letter on Justice and Open Debate)’라는 이름의 공개서한에 잘 나타나 있다. 일명 ‘하퍼스 편지(Harper’s Letter)’라고 불리는 이 편지에는 프랜시스 후쿠야마, 살만 루시디, 노암 촘스키, 조앤 롤링 등 보수·진보를 망라한 전 세계 저명 지식인 153명이 서명했다. 편지는 ‘토론의 자유와 차이의 포용(open debate and toleration of differences)’에 대한 위기를 경고하면서 세상에 만연하는 ‘취소 문화’로 ‘열린 토론’이 막혀버렸다면서 이로 인해 표현의 자유가 침해당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열린 토론에 대한 지식인들의 편지
   
   편지는 세계 언론인과 작가 그리고 지식인들이 겪고 있는 표현의 자유의 위협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었다. ‘논쟁의 여지가 있는 기사를 올렸다고 편집자가 파면되고, 확실치 않다는 매도에 의해 책이 판금되고, 특정 사안의 기사를 쓸 수 없게 금지되고, 수업시간 중 특정 문학작품을 인용했다고 수사를 받고, 동료 연구자들이 검토한 학문 자료를 배포했다고 연구자가 해고되고, 아주 사소한 실수를 했다고 (연구)기관의 장이 해임된다.’ 편지는 마지막 결론을 이렇게 낸다. ‘이런 숨막히는 분위기는 결국 이 시대에 가장 중요한 (창작의) 동인(動因)을 해치게 된다. 강압적인 정부나 관용이 없는 사회가 열린 토론을 제한하면 언제나 힘이 없는 사람들이 피해를 받게 마련이다. 그러면 모든 사람들의 민주적인 참여가 방해받게 된다. 나쁜 사상은 폭로, 논쟁, 설득을 통해 패배시켜야지 침묵하게 만들거나 몰아내려고 해서는 안 된다.’ 이 편지는 ‘작가인 우리들이 실험하고 위험을 무릅쓰는 부담과 심지어 실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문화가 필요하다’며 ‘만일 우리들 작업의 생존이 달린 바로 그 열린 토론을 우리가 방어할 수 없다면, 우리는 국가나 세상 사람들이 우리를 위해 그걸 보호해주길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결국 편지는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는 외부의 적을 막기 위해서는 누구의 힘을 빌리지 않고 당사자인 지식인들이 나서는 것만이 최선이라고 결론 내린다. 언론의 자유로 논란을 겪고 있는 한국의 지식인들이 새겨들어야 할 내용이 아닌가 싶다.
 

주간조선 

 

권석하
 

재영 칼럼니스트.
보라여행사 대표. IM컨설팅 대표.
영국 공인 문화예술해설사.
저서: 유럽문화탐사(2015)
번역: 영국인 발견(2010), 영국인 재발견1,2 (2013/2015)
연재: 주간조선 권석하의 영국통신, 조선일보 권석하의 런던이야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67 헬스벨- 스페이스 닥터의 기억 상실 hherald 2024.02.26
2966 김준환 변호사 칼럼- 기소중지와 해외도피 hherald 2024.02.26
2965 신앙칼럼- 가장이란 이름 그 존재의 부재 hherald 2024.02.26
2964 부동산 상식- Damp & Condensation hherald 2024.02.26
2963 요가칼럼- 하체 레전드' 근력 강화를 위한 안벅지 운동 file hherald 2024.02.26
2962 요가칼럼- '하체 레전드' 근력강화를 위한 안벅지 운동 hherald 2024.02.26
2961 김준환 변호사 칼럼- 영국의 대중교통과 저출산 대책 hherald 2024.02.19
2960 요가칼럼- 자신감은 한뼘 키워주고 내 몸 속근 키우는 요가와 운동 file hherald 2024.02.19
2959 부동산 칼럼- 영국 부동산 법률과 규제의 변화 hherald 2024.02.19
2958 헬스벨 - 장 박테리아를 더 늘일 것인가? hherald 2024.02.19
2957 신앙칼럼- 삶은 이곳에서 그곳으로 hherald 2024.02.19
2956 김준환 변호사 칼럼- 파운드 스털링 hherald 2024.02.12
2955 신앙칼럼- 차 한잔에 담긴 인생의 개혁 hherald 2024.02.12
2954 부동산 상식- 2024년 영국 주택시장 전망 한눈에 보기 hherald 2024.02.12
2953 요가칼럼- 허리통증2탄 폼롤러 마사지와 스트레칭 file hherald 2024.02.12
2952 요가칼럼- 허리통증 2탄 폼롤러 마사지와 스트레칭 hherald 2024.02.12
2951 헬스벨 - 전당뇨도 이미 당뇨 hherald 2024.02.12
2950 부동산 상식- 2월, 집 판매 최적의 시기 hherald 2024.02.05
2949 헬스벨 - 당신의 고혈압이 의미하는 것 hherald 2024.02.05
2948 신앙칼럼-광야에서 외치는 소리 hherald 2024.02.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