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에 못자국, 카페트에 다리미 자국, 카레 쏟은 자국, 이런 것은 어떻게 배상하나요?
Q사는 동안 주인에게 구두로 허락을 받고 벽에 액자와 스피커를 달았습니다. 이사 갈 때 인벤토리 첵크 아웃 한후 주인이 자기는 허락해 준 적이 없다고 하면서 보상금을 요구 했습니다.
Awritten consent 편지를 받지 않고 액자와 스피커를 단 사실로 인해 세입자가 책임을 지게 됩니다. 주택임대중 구두로 상의한 내용은 반드시 편지나 이메일로 써서 주인과 부동산으로부터 written consent 편지를 꼭 받아야 합니다.
만일 주인과 직접 통화를 하거나 만났을 때 말로 허락을 받았는데 나중에 부동산은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인벤토리 첵크 아웃를 할 경우 인벤토리 회사 역시 모르고 있다면 세입자가 계약서에 따라서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인벤토리 회사는 입주시기에 없던 벽의 못 자국을 발견해 낼 것입니다.
만일 집주인이 직접 관리를 하고 있었다면 주인과 직접 만나서 가격 절충을 잘 하시길 바랍니다.
Q주택임대 중 카펫트에 다리미를 떨어 뜨려 다리미 자국이 가볍게 났습니다. 금방 들었기 때문에 자국이 심하게 난 게 아니긴 합니다. 주인이 자국 난 카펫트 전체를 다 바꾼다고 보증금에서 보상금을 달라고 했습니다. 입주시기에 카펫트가 이미 너무 오래 된 것 이기 때문에 보상금을 다 못 준다고 해서 dispute가 생겼습니다.
Q카레를 담은 냄비를 베이지색 카펫트에 쏟아 노란 자국이 생겼습니다.
A위의 두 경우 모두 세입자의 잘못으로 주인의 요구대로 응해 주어야 하는데 단 똑같은 카페트의 가격이 얼마가 되는지 3군데 정도에서 견적을 받아 가격 절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52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22) [3] | hherald | 2010.07.17 |
51 | <영국인 발견> 5 퍼브 Pub 규칙 | hherald | 2010.07.17 |
50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21) | hherald | 2010.07.17 |
49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20) | hherald | 2010.07.17 |
48 | <영국인 발견>4 용어에 따른 상류층과 비상류층 구별 [245] | hherald | 2010.07.17 |
47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9) | hherald | 2010.07.17 |
46 | <영국인 발견> 3 용어에 따른 상류층과 비상류층 구별 [454] | hherald | 2010.07.17 |
45 | 목회자 칼럼-구원과 예정 (18) | hherald | 2010.07.17 |
44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7) | hherald | 2010.07.17 |
43 | <영국인 발견>- 2 계급 언어 코드 [198] | hherald | 2010.07.17 |
42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6) | hherald | 2010.07.17 |
41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5) | hherald | 2010.07.17 |
40 | <영국인 발견> 1 계급 언어 코드 [9] | hherald | 2010.07.17 |
39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4) | hherald | 2010.07.17 |
38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3) | hherald | 2010.07.17 |
37 | 목회자 칼럼- 구원과 예정 (12) [9] | hherald | 2010.07.17 |
36 | 부동산상식-인벤토리 회사의 첵크아웃과 wear and tear | hherald | 2010.07.17 |
35 | 부동산상식-Q 보증인의 기준 [3] | hherald | 2010.07.17 |
34 | 부동산상식-Q 한달 노티스도 되는지요? [5] | hherald | 2010.07.17 |
33 | 부동산상식-Q 집을 팔아야 하는지 다시 세놓아야 하는지 | hherald | 2010.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