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국 신문에는



식료품 가격은 오르고 소득은 줄어 가난한 영국인의 식탁이 점점 건강식으로 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디언>이 조사한 영국인의 식단을 보면 2만 5천 파운드 미만의 소득 계층에서는 매년 오르는 식료품 가격을 감당할 수 없어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 대신 고지방 가공식품을 많이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소득에 따른 음식 구매도 달랐는데 상위 소득의 소수만 과일과 채소의 소비량이 늘었을 뿐 저소득층은 인스탄트 피자, 컵라면, 튀김 등 고지방 음식을 많이 구입했다. 
영국 정부가 추천하는 '건강한 식단'에는 하루 5가지 이상의 과일이나 채소 섭취를 권하고 있는데 이를 먹는 사람이 지난 2년간 90만 명 줄었다.
영국에서는 지난 5년간 음식값이 평균 32% 올랐다. '리들'과 같은 싼 음식을 파는 슈퍼마켓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슈퍼마켓에서 2010년 5월부터 과일과 채소의 판매량이 줄었다. 대신 이 기간 가공식품의 판매량은 25%나 증가했다.
조사 결과 저소득층 사람들은 과일이나 채소보다 가공식품이 할인 판매를 많이 하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진 피자와 같은 음식을 사게 된다고 했다. 경제가 어려우면 건강을 생각할 여력이 없다는 반응이었다.
이같은 고지방 음식 섭취는 건강에 영향을 주는데 소비자가 구입한 음식량은 2010년과 같지만 설탕, 지방, 기름 등의 인체 흡입량은 훨씬 높아 건강에 적신호를 주고 있다.
한편, 스코틀랜드 지역은 채소와 과일 소비량이 2년 사이 증가했는데 스코틀랜드 정부의 건강캠페인 영향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워릭대학의 리즈 다울러 교수는 "배고픈 아이가 있다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듯이 고지방에 비건강식으로 배가 부른 아이도 문제가 된다. 정부가 건강식에 대한 홍보를 계속해 국민 건강 의식을 일깨워야 한다. 경제적인 이유로 과일과 채소를 구입하지 못해 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고 저소득층도 형편에 맞춰서 건강한 식단을 꾸미는 지혜가 필요하다."라고 했다.


헤럴드 김  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85 심장병 사망률 감소는 건강캠페인 덕분? [9] hherald 2012.11.12
384 올해 태어난 아이, 25살부터 노후 준비? hherald 2012.11.12
» 저소득층 '건강한 식단'과 점점 멀어져 hherald 2012.11.19
382 치매 환자와 가족 위한 지원센터 건립 [3] hherald 2012.11.19
381 예산 때문에 직원 감소 NHS 일손 달려 [113] hherald 2012.12.03
380 케이트 누드 실은 아일랜드 신문 편집자 사임 [252] hherald 2012.12.03
379 금융위기 기간에 학생 자살률 증가 [399] hherald 2012.12.03
378 소방차 두 대의 킹스톤 소방서 한 대로 줄여? [265] hherald 2012.12.03
377 킹스톤 역 자살 소동 여성, 노비톤역에서도 [413] hherald 2012.12.10
376 오시아나 클럽 허가 취소에 반발, 법적 대응 [182] hherald 2012.12.10
375 런던 잡센터, 범죄 청소년 선도까지? [152] hherald 2013.01.07
374 영국 노동당, 음식에 설탕, 소금량 제한 주장 [144] hherald 2013.01.07
373 예산 때문에 소방서 문 닫고 소방차 줄이고 [141] hherald 2013.01.14
372 톨월스 걸스 스쿨, 자녀 결석시 부모에게 120파운드 벌금 [166] hherald 2013.01.14
371 여행객은 '불만' 히스로공항 측은 '잘 돌아간다' hherald 2013.01.21
370 패스트 푸드 많이 먹으면 천식 위험 높아 hherald 2013.01.21
369 술병에 칼로리 함량 표시 의무화 [6] hherald 2013.02.04
368 일할 때 껌 씹으면 집중력, 순발력 증가? [304] hherald 2013.02.04
367 영국 교육부, GCSE 시험 폐지안 전면 취소 "GCSE 계속 유지" [150] hherald 2013.02.11
366 영국인의 '참을성'이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높인다? [122] hherald 2013.02.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