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롤스로이스와 벤틀리는 고급 승용차의 대명사입니다. 이 두회사는 모두 영국 회사였고 또 하나의
회사였습니다. 영국 귀족 부자 롤스는 로이스라는 기술자가 만든 자동차를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이름과 기술자의 이름을 딴 롤스 로이스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당시 벤틀리는 고급 수제 자동차를 만들던 작은 회사였는데 롤스 로이스는 벤틀리를 인수하여 본격적으로 자동차 생산에 나섰습니다.
그래서 롤스로이스-벤틀리 라는 브랜드로 세계 최고급 승용차를 만들어 냈습니다.
롤스로이스는 자동차
뿐 아니라 항공기 엔진도 만들었습니다. 미국의 GE, PW 와 더불어 항공기 엔진을 만드는 3개의 회사 중
하나입니다. 이후 자동차부분과 항공기엔진부분으로 분리되어 별개의 회사가 됩니다.
그런데 자동차 롤스로이스와 벤틀리는 이제 더 이상 영국회사가 아닙니다. (항공기 엔진 롤스로이스는 여전히 영국회사입니다) 1998년에 경영 악화로 독일에 매각되게 됩니다.
그런데 처음 매각하려던 회사는 독일의  BMW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영국인의 장사꾼 또는 양아치 기질을 발휘하여 BMW의 매각가격을 경쟁사인 폭스바겐에 공개하고 조금만 돈을 더 주면 너에게 판다고 제안을 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BMW에게는 한마디 양해도 없이 롤스로이스-벤틀리를 폭스바겐에 팔아버립니다. 당황한 BMW는 황당했지만 그래도 유능한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합니다. BMW는 아직 남아있는 비행기엔진 롤스로이스 회사로부터 ‘롤스로이스’라는 명칭의 상표권을 재빨리 구매 하였습니다.
그리고 보닛 위에 달려있는 롤스로이스의 상징 환희의 여신상 상표권도 구매 하였습니다. 이제 폭스바겐이 난처해 졌습니다. 회사는 인수했지만 롤스로이스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고 환희의 여신상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현재 BMW는 롤스로이스를 폭스바겐은 벤틀리를 소유하게 됩니다. 기존 롤스로이스-벤틀리의 생산 공장과 차체를 계승한 회사는 폭스바겐 입니다.
그렇지만 롤스로이스라는 명칭과 환희의 여신상을
계승한 회사는 BMW입니다. 어느 회사가 정통 후계자 일까요?
 
 
4774240bd268c630eba7a98d7b1f0e3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64 김준환 변호사 칼럼 - 계엄령과 환율 hherald 2024.12.16
3163 요가칼럼- 하루10분 상체 토닝 운동 file hherald 2024.12.16
3162 런던통신-드디어 영국 하원 통과한 조력사법 hherald 2024.12.16
3161 시조생활 file hherald 2024.12.09
3160 런던통신- 300년간 세상을 전전한 기구한 크롬웰 머리 hherald 2024.12.09
3159 헬스벨 - 영양 검사를 실시한 후의 단상 hherald 2024.12.09
3158 김준환 변호사 칼럼 - 택스리펀에 대하여 hherald 2024.12.09
3157 이안정 원장의 ‘영국 사회복지 이야기’- 치매(3) 혈관성 치매 치료 hherald 2024.12.09
3156 요가칼럼- 뱃살이 고민이신가요? 아랫배 쏙 들어가는 초보자5분 복근운동 file hherald 2024.12.09
3155 특별기고- ‘통일 독트린’ 국제지지 높이는 김정은의 ‘적대적 두 국가론’ file hherald 2024.12.09
3154 신앙칼럼 - 7년의 결혼 생활 hherald 2024.12.09
3153 부동산 상식- Immersion Heater (전기 온수기)는 급할 때만 사용하세요. hherald 2024.12.09
3152 김준환 변호사 칼럼 - 트럼프와 스포츠 hherald 2024.11.25
3151 런던통신-영국 유명 축구선수 부인들이 4년째 소송전 벌이는 까닭 hherald 2024.11.25
3150 부동산 상식- Radiator Balancing hherald 2024.11.25
3149 헬스벨 - 치즈 영양 상식 hherald 2024.11.25
3148 신앙칼럼- 행복과 불행의 그 시작점 hherald 2024.11.25
3147 요가칼럼- 잘록한 허리 만들어주는 3가지 운동 file hherald 2024.11.25
3146 시조생활 file hherald 2024.11.25
3145 이안정 원장의 ‘영국 사회복지 이야기’- 치매(3) 혈관성 치매의 원인 및 위험 요소 hherald 2024.11.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