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신앙칼럼- 초근목피 草根木皮

hherald 2019.05.13 16:38 조회 수 : 816

 

인류 역사에서 우선순위를 빼앗기지 않은 것은 식량문제입니다. 문명이 발전했다는 것은 결국 식량문제가 해결된 상태라 할 수 있으며 절대빈곤에서 벗어난 결과입니다. 빈곤에 허덕일 때는 결코 문명을 발전시킬 수 없습니다. 문명을 발전시킨다는 것은 곧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레미이야애가 5장9절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광야에는 칼이 있으므로 죽기를 무릅써야 양식을 얻사오니.” 이 말씀은 어떻게 보면 인류가 살아내기 위해 걸어온 식량의 역사를 압축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먹을 것을 해결하기 위해 인류는 광야에서 칼과 더불어 살아야 했습니다.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면 양식을 얻게 되는 것이고, 패배하게 되면 목숨을 잃거나 노예로 전락하게 되는 것입니다. 전쟁의 의미를 포장했을 뿐이지 목적은 오직 한 가지였습니다. 먹는 문제였습니다. 

 

우리 민족 역시 절대 빈곤에 허덕였던 시절이 그리 멀지 않은 시기입니다. 처음부터 풍족한 민족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초근목피라는 말이 있습니다. 풀뿌리와 나무껍질이란 뜻입니다. 이 말의 더 깊은 의미는 먹을 것이 없어 풀뿌리인 산나물이나 나무껍질인 험하고 거친 음식을 먹어야 하는 상황을 일컫는 말입니다. 초근목피는 절대빈곤의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먹을 것이 없으니 독풀이라 할지라도 물에 담가서 독을 제거한 후에 먹어야 하고 소나무 껍질을 벗겨 먹어야 했던 시절은 그 옛날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 아니라 지금 우리와 살고 동일 시대의 조상들이 겪었던 일입니다. 과거 조상들은 먹지 못해 병들었지만 현대인들은 너무 잘 먹어서 질병에 걸리고 있습니다. 

 

절대빈곤일 때 먹었던 음식들은 현대인들에게 약이 됩니다. 에스겔서에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 열매는 먹을 만하고 그 잎사귀는 약 재료가 되리라.”(겔47:12) 산자락이나 강가에서 나오는 열매와 잎사귀는 가꾸지 않은 열매이기에 거친 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들이 병에 걸리는 것은 음식을 입에서 먹기 좋도록 가공했기 때문입니다. 씹지 않고도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만들었기에 먹는 만큼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인류의 먹거리가 곤고해 진 것은 실상 타락으로부터 온 것입니다. 먹거리는 건강과 질병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아담이 범죄 한 이후에 땅은 아담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엉겅퀴를 내고 가시덤불을 내었습니다. 땅이 함께 변질 된 것입니다.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네게 먹지 말라 한 나무의 열매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창3:17-18)

 

인간의 타락과 함께 오는 것 역시 감당하기 어려운 질병입니다. 질병을 이기는 방법은 결국 먹는 문제의 해결입니다. 먹는 것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질병을 이겨낼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알고 계셨습니다. 질병을 이길 수 있도록 만들어 주신 것이 바로 엉겅퀴와 가시덤불 종류입니다. 이 모든 것들은 과거로부터 질병을 치유하는 약재료로 쓰였던 것입니다. 아직도 인류의 절반은 굶주려 있습니다. 굶주린 인구 중 절반은 절대빈곤으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전 인류에게 먹을 것을 공급해주셨지만 인간의 욕심이 한쪽은 빈곤에 허덕이게 하였고 그 반쪽은 절대 빈곤으로 죽게 만든 것입니다. 과학 문명이 최고로 발달할지라도 인간은 먹거리를 해결해 낼 수 없습니다. 물론 농법을 발전시켜서 더 많이 수확할 수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과학의 힘으로 곡식을 만들어내고, 열매를 만들어내고, 고기와 바다의 생선을 창조해 낼 수 없습니다. 문화가 다를지라도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먹거리는 정해져 있습니다. 수많은 동물이 살지라도 인간이 먹을 수 있는 동물은 지극히 제한적입니다. 온 사방이 풀이고 열매 맺는 초목이 풍성할지라도 인간이 먹을 수 있는 것 역시 제한되어 있습니다. 제한된 먹거리를 나눠 먹을 수 있는 마음, 그것을 나눔으로 오히려 인류는 풍성해 지는 창조주의 법칙을 깨트리고 있습니다. 먹거리의 욕심이 결국 인류를 병들게 하는 것입니다. 

 

박심원 목사

예드림커뮤니티교회 공동담임
박심원 문학세계 http://seemwon.com
목사, 시인, 수필가, 칼럼리스트
Email : seemwon@gmail.com
카톡아이디 : seemw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69 영국인 발견 - 62회 부인 규칙 예외: 택시 기사 [6] hherald 2011.10.17
2768 부동산 상식- 주택임대중 겨울에 주는 어드바이스 입니다 [102] hherald 2011.10.24
2767 영국인 발견 - 62회 도로규칙 [8] hherald 2011.10.24
2766 유학성공컨설팅- 유학생, ‘악마의 약’에 빠져들지 않도록 자기 자제력 강화 필요 [6] hherald 2011.10.24
2765 이민칼럼- 영국인과 해외서 4년 동거 입국영주권 [10] hherald 2011.10.24
2764 목회자 칼럼-494주년 종교개혁의 날 [3] hherald 2011.10.24
2763 부동산 상식-주택임대시 계약서 비용 말고 또 들어갈 비용엔 무엇이 있는지요? [40] hherald 2011.11.14
2762 목회자칼럼-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1563) 제20주일 [6] hherald 2011.11.14
2761 이민칼럼-10년 거주 영주권과 그 배우자 비자 문제 [380] hherald 2011.11.14
2760 영국인 발견 - 64회 신체언어와 투덜거림 규칙 [4] hherald 2011.11.14
2759 목회자칼럼-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1563) 제21주일 hherald 2011.11.21
2758 영국인 발견 - 65회 다른 기차역에서의 사례이다 [3] hherald 2011.11.21
2757 유학성공컨설팅-영국유학 중 차(Tea)문화 100배 즐기는 방법 [46] hherald 2011.11.21
2756 이민칼럼-T1G 영구직 급여와 계약직 수당 소득증명 [1] hherald 2011.11.21
2755 부동산상식- 집안의 곰팡이 문제 영문 편지 견본 [307] hherald 2011.11.21
2754 부동산상식- 보증금dispute 와 세입자의negligence hherald 2011.11.28
2753 이민칼럼- 영국인 남편 성으로 어떻게 바꾸나요? [293] hherald 2011.11.28
2752 목회자칼럼-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1563) 제22주일 hherald 2011.11.28
2751 영국인 발견 - 66회 자동차 규칙 [10] hherald 2011.11.28
2750 부동산상식-환기 불충분과 곰팡이 균 Condensation issue [810] hherald 2011.12.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