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습기(Damp)는 영국 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 허나 이것을 간과하고 돌보지 않는다면 추후 집 건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입자의 건강 및 가구에도 피해를 줄 수 있어 항상 잘 관리를 해야 합니다.

 

Damp 에는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Condensation : 가장 일반적인 damp 형태입니다. 공기 중 과도한 수분이 창이나 차가운 벽과 같은 차가운 표면과 접촉 할 때 나타납니다. 곰팡이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겨울에는 더 나빠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환기, 난방 또는 단열이 적절하지 않아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Penetrating damp : 외부 벽이나 지붕을 통해 들어오는 물 때문에 발생합니다. 내부 누수 또는 배관 문제가 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Rising damp : 건물 아래의 습기가 벽돌이나 콘크리트 속으로 스며들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1층 이나,  노후된 주택의 지하실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현상입니다.

 

누구의 책임일까요?

Damp 가 아래의 이유로 인하여 발생 된 것이라면, 집주인은 세입자를 위하여 빠른 조치를 해야 합니다. 집주인이 고쳐야 할 문제의 일반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부의 파이프에 leaking 이 있는 경우

▪ 벽에 금이 가있거나, 창문의 프레임이 썪어있는 경우

▪ 지붕 타일에 문제가 있거나 거터링에 문제가 있는 경우

 

어떻게 관리하나요?

Condensation damp: condensation 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습기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이며 그 유해한 영향은 종종 간과되곤 합니다. condensation은 실내에서 젖은 옷을 건조하거나 샤워, 목욕을 할 때 심지어 주전자에 물을 끓이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욕실과 주방은 종종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공간이기 때문에 적절한 통풍이 필수적입니다.

Penetrating damp : 물은 지붕과 바닥 뿐만 아니라 벽을 통해서도 집안 곳곳으로 스며들 수 있습니다. 벽과 천장의 얼룩이 점점 커지고, 축축하고 쉽게 떨어지는 플라스터는 전형적인 penetrating damp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oor pointing 이나 손상된 벽돌과 같은 건물 외부의 잠재적 취약성 역시 추후 집을 손상시킬 수 있는 습기의 표시가 될 수 있습니다. penetrating damp를 방지하는 방법은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외부 문과 창문 사이에 접착제가 벗겨지거나 교체를 해야하는 것은 아닌지, 벽돌 사이사이에 mortar가 고루 잘 발라져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Rising damp: Rising damp의 가장 큰 원인은 외부에서 돌이나 벽돌을 타고 집안으로 들어오는 지하수, 빗물 등 입니다. Rising damp로부터 집을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방습 처리를 꼼꼼하게 하는 것 입니다.

 

 

Ian Im  Licensed ARLA Agent (영국 부동산 협회 정회원)

http://blog.naver.com/lettings4u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09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2 비틀스의 의미 [3] file hherald 2012.02.20
2708 김태은의 온고지신-여행과 소주 hherald 2012.02.20
2707 유학 성공 컨설팅-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 MA Design Lab [184] hherald 2012.02.20
2706 이민칼럼-영주권자 영국대학 홈피적용 문제에 대하여 [1] hherald 2012.02.20
2705 김태은의 온고지신-멸문지화(滅門之禍) [2] hherald 2012.03.05
2704 부동산 상식-노티스 기간 안에 이사 가고 싶 을 때 [276] hherald 2012.03.05
2703 영국인 발견 - 규칙 만들기 [89] hherald 2012.03.05
2702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4 아바 런던 [161] file hherald 2012.03.05
2701 목회자 칼럼-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1563) 제33주일 hherald 2012.03.05
2700 이민 칼럼-영주권신청 바이오메트릭 후 진행과정 [235] hherald 2012.03.05
2699 영주권자 엄마와 방문무비자 딸 비자문제 [209] hherald 2012.03.19
2698 부동산 상식-피아노를 운반하다가 겪게 되는 damage [8] hherald 2012.03.19
2697 유학 성공 컨설팅-Coventry University - Disaster Management [162] hherald 2012.03.19
2696 김태은의 온고지신-양치기 소년 hherald 2012.03.19
2695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6 하드락과 헤비메탈 [549] hherald 2012.03.19
2694 영국인 발견-계급의식 [218] hherald 2012.03.19
2693 부동산 상식-계약서 싸인하기 전에 요청 하는 business break Clause [9] hherald 2012.03.26
2692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7 펑크 런던 [309] file hherald 2012.03.26
2691 목회자 칼럼-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1563) 제35주일 hherald 2012.03.26
2690 이민칼럼-신설된 T1GE창업비자란? [4] hherald 2012.04.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