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신앙칼럼- 반면교사 反面敎師

hherald 2018.10.15 17:34 조회 수 : 120

 반면교사란  ‘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부정적인  측면에서  가르침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1960년  중국의  공산주의  이론을  확립시키기  위해  문화대혁명때  처음  사용된  말입니다.  
우리는  모택동이라  부르지만  중국  발음은  마오쩌둥에  의해  대중화  된  말입니다.  그가  새롭게  만들어  낸  말은  아닙니다.  이미  존재하는  말이었지만  그가  사용했을  때  그것이  사회적으로  파장을  일으켜  보편적인  말이  된  것입니다.  
중국에서  시작된  말이긴  하지만  오늘  우리들의  일상에서  사용되어지는  보편적인  말이  되었습니다.  반면교사는  거울이론과  같습니다.  언젠가  기차  여행을  하면서  가을들녘의  차창을  무심코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평소에는  밖이  보이다  어느  지역에서는  창에  비춰진  내  모습이  반사  되었습니다.  그러다  잠시  사라진  후  다시  보이는  것을  반복했습니다.  그런데  그  차창에  희미하게  비춰진  내  모습에  스스로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찡그린  모습  때문입니다.  물론  쏟아지는  햇빛에  대한  반응이었지만  섬뜩한  생각이  들어  시를  쓴  것이  있습니다.  

거울법칙  -박심원-

내가  웃으면
거울이  따라  웃는다.
거울이  먼저  웃는  법은  없다.

거울만  나무란다
웃지  않는  거울이라고
인상만  찡그리는  거울이라고
그런  거울은  깨트려야  한다며  
분노  한다.

실상거울을  그렇게  만든  것은
거울  자신이  아니라
거울을  보는  나인  것을  잊는다.

거울의  존재  목적은
거울  자체가  아니라
그  거울을  보는  나인  것을
그렇지만  인간은  거울만  나무란다.

거울은  반면교사  일뿐입니다.  거울을  보고  분노할  것이  아니라  거울을  보고  깨달아야  합니다.  세상은  거울입니다.  세상이  어두운  것은  그  세상을  바라보는  내  모습이  어둡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아닐  수  있습니다.  그건  분명합니다.  그러하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내  모습이  어둡기  때문에  세상이  어둡다는  성숙한  이론을  스스로  장착한다면  그  다음부터  세상은  아름다워집니다.  
남탓만  하는  세상이  아니라  자기  탓을  하는  것이  더  빠른  개혁과  살기  좋은  세상이  만들어집니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아야  하는  말은  이제  바뀌어야  합니다.  역사  이래  윗물이  맑아  본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윗물  탓만  했습니다.  윗물은  지난  과거입니다.  과거를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랫물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을  조명할  때  그의  어렸을  때를  거론합니다.  그것을  보는  사람  중에는  그보다  더  어렵게  산  사람은  많을  것입니다.  성공했기  때문에  그의  과거가  조명되는  것입니다.  
성공하지  않은  사람의  과거는  그  누구도  관심  갖지  않습니다.  그와  같습니다.  아랫물이  노력하여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게  되면,  그  아랫물에  의해  윗물도  바뀌게  됩니다.  윗물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에  현실의  세상으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윗물을  반면교사  삼았기에  맑은  아랫물이  된  것입니다.  윗물은  거울이면서  동시에  반면교사입니다.  
그것을  보고  성장했지만  옳지  않은  것은  거부하고  피부를  깎아내는  혁신의  아픔이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옳지  않은  과거,  흙탕물인  윗물이  있었기에  오늘  옳은  현실과  맑은  말을  다음세대에  물려  줄  수  있게  됩니다.  

 

박심원 목사

예드림커뮤니티교회 공동담임
박심원 문학세계 http://seemwon.com
목사, 시인, 수필가, 칼럼리스트
Email : seemwon@gmail.com
카톡아이디 : seemw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849 영화로 배우는 세계사 - 불의 전차(1981) hherald 2016.06.20
1848 온고지신 - 단 두 방에 의하여 hherald 2016.06.20
1847 헬스벨 - 곡류의 불편한 진실 hherald 2016.06.20
1846 권석하 칼럼 - 하이힐 한 켤레, 신사의 나라 민낯 드러내다 영국, 하이힐 강요 금지 청원운동 5개월 만에 14만 서명 hherald 2016.06.20
1845 부동산 상식- 세입자와 집주인간의 분쟁 최소화를 위한 인벤토리 TIP hherald 2016.07.04
1844 라이프코칭 “행복하자! 아프지 말고..” #11바보, 쪼다, 머저리의 차이 hherald 2016.07.04
1843 템즈의 Tour & Interview 제 1회 런던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 file hherald 2016.07.04
1842 온고지신- 죽을 지도 모르면서 hherald 2016.07.04
1841 런던미술관에서 살아남기 1.내셔널갤러리(National Gallery)에서 살아남기(3) hherald 2016.07.04
1840 헬스벨- 유산소는 갔다 hherald 2016.07.04
1839 영국축구 출필곡 반필면- 유로 2016 프랑스 vs 포르투갈 결승전 hherald 2016.07.11
1838 온고지신- 반드시 쪼개져야 hherald 2016.07.11
1837 부동산 상식- 영국 주택시장 동향 hherald 2016.07.11
1836 템즈의 역사 인터뷰 - 공자가 본 이 시대 지도자 상 hherald 2016.07.11
1835 이민칼럼- 워크비자 신청시 동반비자도 함께 신청해야 하는지? hherald 2016.07.11
1834 헬스벨 - 인체를 지지하는 케이블, 힘줄의 건강을 회복하자 hherald 2016.07.11
1833 권석하 [ESSAY] "아빠, 한국 여권 되살릴 수 있을까요?" hherald 2016.07.11
1832 템즈의 역사 인터뷰 - 18세기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거장들과의 대담 hherald 2016.07.18
1831 이민칼럼- 워크비자서 타 워크비자로 변경시 영주권 신청시점 hherald 2016.07.18
1830 헬스벨- 장이 안 좋다 = 모든 질병의 수문이 열렸다 hherald 2016.07.1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