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신앙칼럼- 둔필승총 鈍筆勝聰

hherald 2018.07.16 14:45 조회 수 : 306

 

 

인류의 흔적은 역사시대(History)와 선사시대(Free History)로 구분합니다. 역사를 나누는 기준은 문자입니다. 문자가 있어서 문명이 기록되어 흔적으로 남게 되는 시대를 역사라 하고, 기록이 없는 시대를 선사라 합니다. 인류의 시작인 아담 때부터 언어와 문자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과학으로 포장된 진화론적 세계관은 이를 부정하고 있으며 최초의 성문법을 함무라비 법전이라 주장합니다. 함무라비(Hammurabi, 재위 BC 1792-1750년)는 고대 바빌로니아 왕으로서 당시 완성된 형태의 법체계를 갖추었다 평가 받고 있습니다. 그의 법전에는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법전이 기록된 비석에는 282개의 판례법 조항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판례법들은 함무라비 왕 말기인 BC 1750년경에 수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 국신인 ‘마르둑’(Marduk) 신전에 세워져 있던 비석은 현재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전시되어 있습니다.

 

문자로 표현되고 문서의 형식을 갖춘 성문법은 모세를 통하여 BC 1491년 시내산에 받은 613가지 율법입니다. 그 대표적인 법인 십계명은 두 개의 돌 판에 새겨져있습니다. 모세 율법이 함무라비 법전 보다 후세에 기록된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법을 모방하여 신생법을 만든 것이 아니라 아담, 노아, 아브라함 시대에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들의 규례들을 다시금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해 모안 놓은 보편적인 판례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세 율법을 규례와 법도라 부르게 됩니다. 규례와 법도는 아담 이후부터 지켜왔던 신앙규례들을 모아 놓은 것입니다. 사람이 모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명령에 의한 약속입니다. 노아는 정결한 짐승 암수 일곱 쌍, 부정한 동물은 암수 두 쌍씩을 방주에 실었습니다.(창7:2) 노아가 생각했던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의 기준이 있었습니다. 그 기준은 아담이 동물의 이름을 지을 때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입니다. 아담이 만들고 노아가 실행한 동물성결법의 기준은 모세 율법에서 규정하는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의 기준과 다르지 않습니다. 모세 율법에 기록된 내용은 믿음의 선조들이 알았고 지켜왔던 신앙 규례이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시작인 아담부터 완벽한 언어가 있었고, 또한 문자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기록입니다. 이것은 인간이 노력해서 만들어낸 문자와 언어가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부여 받은 은총의 선물입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것이 성경입니다. 아담 시대의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인류가 알 수 없는 역사적 사실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족보로써 역사를 압축하여 기록하게 했습니다. 창세기 5장에는 아담의 족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누가 누구를 몇 살에 낳았고, 몇 살에 죽었다는 내용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족보에 등장하는 이름 하나는 그들이 갖는 각각의 역사를 가지게 됩니다. 족보가 있다는 것은 완벽한 문자와 언어, 성문법 역사가 있다는 증거입니다. 다만 세간의 입장에서는 성경을 역사적 산물로 보지 않고 종교적 교훈서 정도로만 보기에 인류의 시작부터 역사가 있었음을 거부하게 됩니다.

 

‘둔필승총’이란 말이 있습니다. ‘무딘 붓이 더 총명하고, 서툰 글씨라도 기록하는 것이 기억보다 낫다’는 말입니다. 성경에 기록된 내용은 훗날 종교성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종교를 목적으로 쓰인 종교적 교훈이나 율례, 의식이 아니라 인류역사의 기록입니다. 그러하기에 성경은 쉐마(the Shema)교육을 강조합니다. 쉐마교육이란 율법서인 신명기 6:4 말씀에 기초합니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하나님은 모세에게 기록할 것을 명령하셨고(출34:27) 모세는 그 명령을 기록하여 후세에 남겼습니다.(신31:24) 그 기록이 바로 오늘날 성경입니다. 기록하라는 것은 완벽한 문자와 언어가 있다는 증거입니다. 오고 오는 세대에게 필요한 하나님의 말씀이 역사로 기록된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생활이란 종교성에서 발원된 것이 아니라 내면에 자리한 원초적 종교성을 버리고 기록된 말씀을 믿는 것입니다.(롬10:17) 그래서 믿음은 종교적 열심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기록된 말씀을 믿고 그 말씀에 순종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물론 종교적인 노력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눈에 보이는 종교적 노력은 믿음을 얻는 과정이 아니라 믿음이 있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신앙 고백일 뿐입니다. 유대 랍비인 ‘렙 제불룬’(Reb Zebulun)는 말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산다. 그러나 내일이면 오늘은 이야기가 될 것이다. 온 세상은 모든 인생사는 하나의 긴 이야기다.” 인간이 살아 움직이는 모든 것은 기록됩니다. 역사에 기록되든, 하나님에 의해 기록됩니다. 역사에 의해 기록되는 것보다 더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하나님에 의해 기록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에 의해 기록되는 것은 개인의 일상뿐 아니라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말도 포함됩니다. 그래서 그 말한 것에 대해 영혼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마12:36-37) 삶은 쉐마입니다. 기록한 것을 읽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고, 그것은 일상이 되어 다시 기록되는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됩니다. 

 

 

박심원 목사

예드림커뮤니티교회 공동담임
박심원 문학세계 http://seemwon.com
목사, 시인, 수필가, 칼럼리스트
Email : seemwon@gmail.com
카톡아이디 : seemw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44 헬스벨 - 운동을 안해서 살찐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착각! hherald 2024.01.22
2943 런던통신- 돈보다 진심을 중시하는 영국인들의 봉사관 hherald 2024.01.22
2942 요가칼럼- 안전하고 쉽게 역자세에 성공하는 방법 헤드스탠드편 file hherald 2024.01.22
2941 김준환 변호사 칼럼 - 마라톤이 42.195km인 것은 영국 왕실 때문 hherald 2024.01.22
2940 부동산 상식- Party Wall Agreement hherald 2024.01.22
2939 헬스벨 - 경고! 약물 사용으로 인한 영양소 고갈 hherald 2024.01.15
2938 신앙칼럼 - 이력서보다 중요한 인간의 속성 hherald 2024.01.15
2937 김준환 변호사 칼럼- 2024년에 닥친 세가지 위험 hherald 2024.01.15
2936 요가칼럼- 매일 천천히 건강하게 살빠지는 습관! file hherald 2024.01.15
2935 요가칼럼- 새해 오분 요가 챌린지. 자세는 바르게, 어깨는 시원하게 file hherald 2024.01.08
2934 신앙칼럼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hherald 2024.01.08
2933 런던통신 - “영국에서 반유대주의 언행은 자살이다” hherald 2024.01.08
2932 김준환 변호사 칼럼 - 브렉시트의 추억 hherald 2024.01.08
2931 부동산 상식 - 보일러, 새 것처럼 잘 쓰는 노하우 hherald 2024.01.08
2930 헬스벨 - 성장 잠재력을 발휘하라 hherald 2024.01.08
2929 헬스벨 - 은퇴를 준비한다면 가장 중요한 것 hherald 2023.12.18
2928 요가칼럼- 매트없이도 가능한 전신 다이어트 운동- 숨은 키 0.5cm 찾아 드립니다! file hherald 2023.12.18
2927 김준환 변호사 칼럼 - 서울의 봄 hherald 2023.12.18
2926 신앙칼럼- 살아 있음의 증명 hherald 2023.12.18
2925 부동산 상식- 겨울에도 가든 잔디 관리가 필요합니다. hherald 2023.12.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