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재의 수요일이란 사순 제1주일 전(前) 수요일로서 이날 미사 때 참회의 상징으로 사제가 재를 축복하고 머리에 얹는 ‘재의 예식’에서 재의 수요일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그리고 이 예식에 쓸 재는 지난해 주님 수난 성지 주일에 축복했던 나뭇가지를 불에 태워 만든 것을 사용하며, 사제는 ‘흙에서 났으니 흙으로 돌아갈 것’을 상기시키며 신자들의 머리에 재를 얹는다고 한다. 재의 수요일과 사순절은 로마 카톨릭의 예식인데 왜 정통 기독교가 그것을 따라 하는가? 무엇 때문에?...

 

사순절은 정통 기독교의 절기가 아니다. 초대교회로부터 3C까지는 사순절을 지키지 않았다. 사순절이란 부활절까지 주일을 제외한 40일의 기간을 말하는데, 사순절기간 회개와 자신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십자가에 달려 고난당하신 예수님의 죽음을 묵상하며 지내는 것으로 니케아공의회(325년)에서 정하였고 그레고리 교황 때 정한 재(灰)의 수요일부터 시작했다. 사순절의 의미는 그럴듯하지만 이것 역시 사사기 시대의 상황처럼 “...사람이 각각 그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였더라”(삿 21:25) 는 말씀과 다를 바 없다. 즉 하나님의 뜻과는 상관없이 사람들이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은 대로 한다는 것이다. 

 

사순절을 절기로 만들기 위해 어떻게 행하였는가를 보면, 예수님의 광야 40일, 시내산에서 모세의 40일, 이스라엘의 40년간의 광야 생활을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하여 40일을 정한 것이다. 이 40일의 출처에 대해 히슬롭은 “니므롯의 아들 담무스가 40세 때에 멧돼지에 받혀 죽었는데 그가 살던 1년을 하루로 계산해서 40일간 애곡하기 위한 기간이 설정되었고 고대에는 이 40일 동안 그의 은총을 새로이 얻고자 즉, 그가 지하세계에서 나와 봄을 시작하도록 자기 스스로를 매질하는 풍습을 지켰고...이교도들 가운데서 이 사순절이 담무스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는 연례 대축제의 필수적 전제 조건이 된 것처럼 보였다”고 말하였다. 

사순절은 성경의 어떤 부분과도 연관성이 전혀 없는 이교도의 풍습에서 나온 미신적 행위인 것이다. 초대교회가 사순절을 지키었던가? 성경 어디에 사순절을 지키라고 말씀하고 있는가? 그리고 종교 개혁자들이 언제 사순절을 지키라고 가르쳤던가? 오히려 종교 개혁자들은 사순절이 교회의 절기도 아니고 오히려 미신적이라 말하면서 폐지하였다. 

 

사순절은 교회의 절기도 아니고 아무 날도 아니다. 백번 양보해서 사순절이 절기라고 하자. 그런데 성경이 뭐라 말씀하고 있는가를 보라. “너희가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삼가 지키니 내가 너희를 위하여 수고한 것이 헛될까 두려워하노라” (갈 4:10) 사도 바울은 오히려 절기를 지키는 것에 대해 엄히 말씀하고 있다. 사도 바울은 유대주의자들의 거짓되고 외식적인 율법주의를 책망하고 있는 것이다. 당시 교회 안으로 들어온 거짓된 외식적 율법 즉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지키는 행위에 대한 왜곡된 신앙을 책망하는 것이다.

초대교회가 사순절을 지키었는가? 초대교회로 돌아가자고 외친다면 재의 수요일과 사순절의 미신을 버려야 한다.  

다윗의교회  최찬영목사
칼빈개혁신앙연구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609 김태은의 온고지신- 황진이의 사랑 hherald 2012.09.03
2608 부동산 상식-Household Waste- [150] hherald 2012.09.03
2607 목회자 칼럼-기독교 신앙강좌 칼빈개혁신앙연구회도르트 신조 (1618) - 2 hherald 2012.09.03
2606 이민 칼럼-입국심사 거절 대처방법 [219] hherald 2012.09.03
2605 부동산 상식-‘집에 입주 했을 때 청소되어 있지 않아 깨끗하지 않았습니다. ‘ [271] hherald 2012.09.17
2604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26 핑크 플로이드 실험정신의 상징적 신화 [9] file hherald 2012.09.17
2603 목회자 칼럼-도르트 신조 (1618) - 3 hherald 2012.09.17
2602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27 스미스 천재 밴드의 화석 [233] file hherald 2012.09.17
2601 목회자 칼럼-도르트 신조 (1618) - 4 [1] hherald 2012.09.17
2600 부동산 칼럼-보증금dispute 와 세입자의 negligence [172] hherald 2012.09.17
2599 김태은의 온고지신-속 상한다! hherald 2012.09.17
2598 학생비자로 취업비자 신청과 신청장소 문제 [44] hherald 2012.09.17
2597 이민칼럼-취업비자, 주재원비자 퇴사와 남은 비자기간 활용 [199] hherald 2012.09.26
2596 부동산 상식-주택임대시 utility 비용 [29] hherald 2012.09.26
2595 목회자 칼럼-도르트 신조 (1618) - 5 [1] hherald 2012.09.26
2594 김태은의 온고지신-밴댕이소가지가 근원 [13] hherald 2012.09.26
2593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29 명반 리뷰/런던 콜링(London Calling) [355] file hherald 2012.10.02
2592 부동산 상식-이사 나갈때 신경 써야 하는 청소 부분들 [134] hherald 2012.10.02
2591 영국인 발견-대학생 의례 [3] hherald 2012.10.02
2590 목회자 칼럼-도르트 신조 (1618) - 6 [162] hherald 2012.10.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