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영국 연재 모음

Q. 집을 찾아 계약을 하려고 하는데, 계약서에 세입자에게 정원 관리를 하도록 요구 하고 있습니다. 세입자인 저는 어느정도 까지 정원 관리를 해야 하며, 집주인의 책임은 무엇인가요?
 
 
Social Housing Rules
 
많은 Council 과 Housing association 에서는 계약의 한 일부로서 세입자들은 임대
주택의 정원을 ‘satisfactory standard’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satisfactory standard’ 이라 하여 너무 거창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실제로 ‘satisfactory standard’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세입자가 해야 할 일은 크게 어려운 것들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은 ‘정원에 쓰레기를 쌓아 놓지 않기’, ‘일반적인 수준의 정원 가꾸기’와 잔디가 너무 많이 자라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잔디 깎기’ 등 입니다. 보통은 일반 계약서에 이정도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실제로 집에서 살면서 정원을 확인 할 수 있는 사람은 집 주인이 아니고 세입자이기 때문 입니다. 만약 일반적 수준의 정원 관리조차도 집주인이 해야 한다면 집주인은 매일 세입자의 집에 찾아와서 정원을 살펴봐야하겠지요. 하지만 현실 적으로 집주인은 세입자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없기때문에 이는 불가능 하여 ‘satisfactory standard’ 수준으로 정해 놓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집주인은 세입자에게 전문가 수준의 정원 관리를 기대 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세입자가 큰 나무의 가지 치기를 하지 않았다고 세입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정원에 세입자가 관리하기 힘든 커다란 나무가 있다면 집주인이 1년에 한두 차례 가드너를 보내는 것이 마땅합니다.
 만약 정원에 멋있는 조경이 설치 되어 있거나, 정원 관리가 정말 중요하고, 임대주택의 정원을 세입자가 가꾸지 않을 까봐 걱정이 된다면 집주인이 가드너를 직접 고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처음 계약할 때 정원 관리 비용을 렌트비에 어느정도 포함하고 정원 관리 비용은 집주인이 지불하는 것으로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세입자로 인한 손상을 보상 받을 수 있는 적절한 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세입자는 정원을 기존과 다르게 변경하고 싶다면, 집주인의 허가를 받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집주인이 패너티를 청구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마지막으로 정원 관리 관련 분쟁을 줄이기 위해 체크인 보고서에 정원의 사진을 날짜와 함께 삽입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추 후 세입자가 떠날 때 체크 아웃 보고서와 비교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스펙션을 통해 정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보는 것 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세입자는 주택의 정원을 방치하지 말고 내 집처럼 돌봐야 하고 세입자가 할 수 없는 큰 나무의 가지치기 등은 필요 시 지체없이 부동산 또는 집주인에게 알려야 합니다.
 
 
  Ian Im  Licensed ARLA Agent (영국 부동산 협회 정회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69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33 후 락 사상 가장 시끄러웠던 밴드 [228] file hherald 2012.11.05
2568 부동산 칼럼-월세를 꼭standing order로 내야 하는지요? [222] hherald 2012.11.05
2567 김 태은의 온고지신-전국체전과 이민역사 [5] hherald 2012.11.05
2566 부동산 칼럼-주택임대중 겨울에 주는 어드바이스 입니다. [192] hherald 2012.11.12
2565 영국인 발견- 대중들이 쏟아내는 비통함 [1] hherald 2012.11.12
2564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34 다이어 스트레이트스 완벽한 충족의 음악 [86] file hherald 2012.11.12
2563 다윗의 교회-도르트 신조 (1618) - 10 첫째 교리: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遺棄) [138] hherald 2012.11.12
2562 김태은의 온고지신-특급호텔에서 휴양소로 [1] hherald 2012.11.12
2561 이민칼럼-한국에서 영국인과 혼인신고 방법 [169] hherald 2012.11.12
2560 김태은의 온고지신- 모든 병의 원인은 돈이다 [6] hherald 2012.11.19
2559 부동산 칼럼- 최초 주택임대 장기 계약 또는 1년후 장기 계약 연장 [221] hherald 2012.11.19
2558 목회자 칼럼- 도르트 신조 (1618) - 11 [1] hherald 2012.11.19
2557 이민칼럼- 동거인으로 EEA패밀리퍼밋과 영주권 [135] hherald 2012.11.19
2556 부동산 상식-데포짓을 가장 많이 받기 위한 Top 10가지 조언 [163] hherald 2012.12.03
2555 목회자 칼럼-도르트 신조 (1618) - 12 첫째 교리: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遺棄) hherald 2012.12.03
2554 음악으로 만나는 런던-35 샌디 대니 가장 심각한 여자의 노래 [264] hherald 2012.12.03
2553 김태은의 온고지신-한번보고 두번보고 [192] hherald 2012.12.03
2552 영국인 발견-크리스마스와 연말 파티의 규칙 [112] hherald 2012.12.03
2551 부동산 상식- 임대 주택 성공 tips [4] hherald 2012.12.03
2550 이민칼럼-T2M종교비자 준비과정과 연봉 및 영어 [169] hherald 2012.12.0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