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헤럴드 특종

 

 


최근 영국의 주요 도시 곳곳에서 '좀비 드러그 Zombie drug'로 불리우는 신종 마약에 취해 좀비처럼 공중전화 부스, 공원 벤치, 버스 정류장 등 길거리에 의식을 잃고 쓰러진 사람들을 촬영한 영상이 소셜미디어로 확산돼 신종 합성마약의 문제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문제의 신종 마약은 대마초 대용으로 제조돼 시중에 팔리는 합성마약인데 흔히 '스파이스 Spice' 또는 '블랙맘바 Black Mamba'로 알려져 있다. 이 마약은 환각, 발작, 정신분열 등을 일으켜 좀비같은 행동을 유발해 좀비 드러그라 불린다. 

 

영국에서는 3년 전부터 유통됐는데 원래 대마초의 값싼 대체품으로 알려졌다. 건초와 화학 합성물을 섞어 만들어진 이 마약은 가격이 매우 싸지만 마약 효과는 100배 강력해 영국 전역에 급속도로 번졌다. 이 신종마약으로 2015년에 8명이  사망했고 올해까지 27명이 사망했다. 조금만 복용해도 구토, 고열을 동반한 고혈압, 신장 장애 등을 유발해 NHS에도 큰 문제점으로 대두됐다.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의 올리버 서트클리프 약학과 교수는 "이 신종마약은 대마초가 아니다. 대마초는 식물, 즉 자연제품인 반면 좀비 드러그는 화학물질이며 실험실에서 만들어진다. 그래서 더 위험하다."라고 말했다. 

 

영국의사연합에서도 "좀비 드러그가 헤로인이나 코카인 등의 마약보다 인체에 더 해로워 NHS에 큰 부담이 된다."고 했다. 

 

좀비 드러그는 다른 마약보다 싸기 때문에 노숙자 사이에서나 교도소 안에서 주로 유통되고 있다. 올해 1월-4월 동안 웨스트민스터 카운슬이 운영하는 호스텔을 찾은 노숙자 중 22%인 430명이 좀비 드러그를 주기적으로 사용한다고 했다. 웨스트민스터  카운슬의 니키 아이켄 카운슬러는 "노숙자들만 골라서 좀비 드러그 판매하는 악덕 마약상도 있다"고 했다.

 

교도관들은 교도소 안에서 좀비 드러그의 확산이 '전염병 수준(epidemic levels)'이라고 평가했다. 영국의 '교도소 및 보안관찰 옴부즈맨 Prison and Probation Ombudsman'의 발표에 따르면 2013 -16년 사이 좀비 드러그 등 신종 합성마약 과다복용으로 사망한 사건이 79건이나 기록됐다. 또한 좀비 드러그는 분노와 폭력을 유발해 교도소 내 폭행 등 다른 범죄의 원인이 되고 있다.

 

폭력과 분노 등 반사회적 행동을 부추기는 부작용을 가진 좀비 드러그는 경찰에게도 큰 문제이다. 지난 수 개월동안 웨스트민스터 지역에서만 경찰이 좀비 드러그 관련 응급상황에 수십 번 출동했다. 웨일즈 경찰도 ITV와의 인터뷰 중 좀비 드러그가 '수십년만의 가장 큰 문제'라고 했다.

 

마약 중독자의 사회 복귀를 돕는 자선단체 Arch의 로웨나 그레고 씨는 "좀비 드러그는 영국 모든 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며 "2년전부터 확산됐지만 지난 6개월동안 중독자가 많이 늘었다."고 했다.

 

또한 노숙자 보호 단체 The Connection의 에와 카피카 씨는 "노숙자들의 쉼터에 응급구조대원이 출동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전에는 응급차가 쉼터에 오는 일이 드물었다. 하지만 좀비 드러그를 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 누워 환각 상태에서 '다 끝내고 싶다'며 소리치고 폭력을 행사한다. 경찰과 응급차가 와야 상황이 종료된다. 겁이 난다."고 했다.

 

 

헤럴드 김젬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209 한인회장 후보 2명 등록, 선거 11월 25일 file hherald 2023.11.06
1208 해군 순항훈련전단 5년 만에 영국 입항, 런던한국학교 방문 file hherald 2023.11.06
1207 윤 대통령 21일 국빈 방문 앞두고, 찰스 국왕 8일 뉴몰든 방문 hherald 2023.11.06
1206 킹스턴 병원 돕기 자선콘서트 file hherald 2023.10.23
1205 파리 에펠탑 주변 공원, 여성 관광객 대상 성범죄 위험 hherald 2023.10.23
1204 런던한인학교 개교 51주년 기념식 file hherald 2023.10.16
1203 제22대 총선 재외유권자 등록 신청 hherald 2023.10.16
1202 영국 곳곳 빈대 출몰, 지하철, 버스에서 목격담 잇따라 hherald 2023.10.16
1201 대사관, 수교 140주년 ‘한국의 밤’ 행사 개최 file hherald 2023.10.09
1200 한류에 흠뻑 빠진 '제1회 한류축제' file hherald 2023.10.09
1199 우옥경 회장, 재영한인의사협회 정부포상 선정 file hherald 2023.10.09
1198 '요리' 레스토랑, 영국 '올해의 한식당 대상' 수상 file hherald 2023.10.09
1197 대한노인회 영국지회 노인의 날 행사 file hherald 2023.09.25
1196 제8회 코리안 아트 페스티발, 초가을 런던의 밤을 예술로 물들였다 file hherald 2023.09.25
1195 재영탈북민총연합회 추석 한가위 행사 file hherald 2023.09.25
1194 英 담배 구입 금지법 시동...청소년 성인 돼도 담배 못 사 hherald 2023.09.25
1193 英 학생 5명 중 1명꼴로 결석 잦아... 코로나 후 증가 hherald 2023.09.18
1192 추석 맞이 한국 클래식 대향연, 제8회 Korean Arts Festival file hherald 2023.09.18
1191 런던한국학교 2023-24학년도 1학기 개학식. hherald 2023.09.11
1190 재영외식업협회 킹스톤병원 돕기 김치 페스티벌 file hherald 2023.09.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