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국 신문에는

온고지신- 욕을 하고 싶어도

hherald 2017.01.09 18:28 조회 수 : 2231

 

살기 위해

불교의 ‘천수경’의 첫 진언은 정구업진언(爭口業眞言)이다. 가장 많이 알려진 진언 중 하나로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인데 입으로 지은 죄를 깨끗이 하고자하는 주문이다. 무심코 던진 한마디는 때로는 상대방이나 엉뚱한 다른 사람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말 한마디와 메모 한 장이 세상에 풍파를 일으킨 사례는 많다. 공자도 친구의 메모 한 장에 관직을 쫓겨나 천하를 주유하게 되고, 이런 일들은 현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현재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옛것을 교훈삼아 몸가짐을 잘 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면 좋겠다싶어 몇 자 쓰고 있으나 나온 글이니 주워 담을 수 없다. 옛사람이나 지금 사람이나 사람이기에 똑같이 사는가 보다. 그때 그 사람들도 기쁘기도 했고 아프기도 했다. 사랑도 했고 미워도 했던 것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이 모든 일이 마음을 아프게 하고 결국 병이 들게 하는 것이니, 좀 덜 아팠으면 하는 마음으로 써 보지만, 양지에서의 건강관리와 음지에서의 건강관리가 달라져야만 하는 것과 같아, 남의 것을 빼앗고 훔치는 것을 나쁘다고 말하면, 살기 위하여 그래야만 하는 이들에겐 나쁜 이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옳은 것도 그른 것도 없다’하시던 어느 선사님이 생각난다.

 

욕을 해야

영국의 한 신사가 새해 결심으로 욕을 안하게다고 맹세했는데 몇일 안 되어 실패했다는 작심삼일(作心三日)에 대한 보도가 있다. 영국은 요즘 여자들이 남자보다 대화중에 F-word를 많이 사용한다는, 쉽게, 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는 대학연구가 나왔다. 욕도 가끔은 필요하기도하고, 웃어넘길 수 있는 정도의 욕은 아량을 베풀어 애교로 봐줄 수도 있다. 그러나 욕도 계속하면 늘게 되어있다. 습관이라지만 이것도 지나치면 중독으로 발전할 수 있다. 욕을 잘해서 유명인이 되기도 하고, 어쩌다 한번 한 욕으로 평생의 명예를 날려버리기도 한다. 욕을 하고 싶거나, 해야 할 때는 해야 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는 있다. 욕할 일이 없는 세상이야말로 얼마나 좋은 세상이겠냐 마는, 어떤 이에게는 욕만 나오는 세상으로 보여 지는 경우도 있으리라 본다. 본인의 건강을 위하여 욕을 해야 하는데, 욕을 하면 오히려 욕을 먹어야하니 어찌하면 좋겠는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다’고 외치고 싶어도, 현 세상에선 아무도 없는 숲을 찾기도 어렵다.

 

그래도 상위권

음식 쇼핑 섹스 알콜 중독같이 어떤 것에 대한 남용이나 탐닉은 결국 병으로 발전되고 연관되게 되어 있다. 무엇에 중독된다는 것은 유전이거나 유전자의 이상이나 주변 환경이나 약물부작용 등에 의한 영향이 있을 것이다. 탐닉이나 중독은 결국 우리 인생을 망치는 길로 이끌게 된다. UN 조사에 따르면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나라 중에서 5위를 했단다. 각 나라의 빈곤, 질병, 전쟁, 불평등 등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 삶의 평가에서 한국은 35위를 차지했단다. 188개 조사 국가 중에서 미국은 폭력이나 살인, HIV, 알콜 소비, 소아비만, 자살 등에 대하여 이들에 대한 조치가 미흡하여 28번째 나라가 되었고, 가장 건강한 1위 나라는 작은 섬나라 아이스랜드가 차지했고, 싱가폴 스웨덴 순서이고, 가장 힘들게 사는 나라는 남수단 소말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순서란다.

 

시작해야만

명심보감(明心寶鑑)에 ‘비록 작은 일이라도 시작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다(事雖小나 不作이면 不成)’라고 하였다. 새해 초니 욕을 하든 말든, 무슨 일이든 간에 시작을 해야 하니, 일단 시작을 하고 보자. 물론 세상에서 자기 뜻을 펼치려면 사람을 잘 만나야 한다고 하였다. 아무리 훌륭하고 뛰어난 재주를 가졌다 해도 재주를 펼칠 무대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웅대한 뜻이나 포부를 펼칠 무대를 만들어 줄 군주나 신하를 만나야만 하는데, 강호는 넓고 인재는 많으나, 때를 잃고 헤매는 발길도 어지럽고, 기다리다 지친 이들은 아프기만 한데, 타관땅의 무명거사야

 

 

Tip. 언제는 담배가 폐암의 주범이라더니, 이젠 음식조리 미세먼지가 뒤집어쓰고, 차량매연도 치매를 증가시킨다니, 번화가의 주방뿐만 아니라 모두 미세먼지 조심조심.

 

 

영국서울한의한 박사 김 태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605 2012 런던 올림픽을 대비한 Go Kingston 2010 hherald 2010.07.17
604 리치먼드, 부시 두 공원 유료주차장 백지화 hherald 2010.07.17
603 방학, 어린이에게 독서의 즐거움 알릴 기회 hherald 2010.07.19
602 Oyster Card로 알뜰 여름휴가 [6] file hherald 2010.07.19
601 킹스톤 타운센터에 경찰 순찰 센터 문 열어 [275] file hherald 2010.07.19
600 2012년 하반기 1만 명 써리 주민 인터넷 사용 기대 hherald 2010.07.26
599 서튼지역 무료 유치원 교육시간 늘어나 hherald 2010.07.26
598 킹스톤 주민, 카운슬의 화재 후속 조치 칭찬 hherald 2010.07.26
597 킹스톤 재판소 폐쇄 반대시위 hherald 2010.08.02
596 영국 지하철 냉방장치 예산 줄여 찜통 지하철 예상 [13] hherald 2010.08.02
595 잔디 화재사고 주원인은 바비큐와 담뱃불 [33] hherald 2010.08.09
594 10대 여학생 집 가든에서 여우에게 물려 [5] hherald 2010.08.09
593 머튼지역 TV 시청료 미납 주민 무더기 적발 [211] hherald 2010.08.23
592 킹스톤 '수상한 서류가방' 경찰이 폭파시켜 [21] hherald 2010.08.23
591 화재 아파트 주민 "집으로 언제 돌아가?" [82] hherald 2010.08.23
590 킹스톤 벤톨센터에서 청소년 추락사고 [152] hherald 2010.09.06
589 킹스톤 일대 공원에서 발생한 범죄 급격히 감소 [1] hherald 2010.09.06
588 킹스톤 자전거 이용자 사고 증가 hherald 2010.09.06
587 런던소방대 노조, 인원감축 등 반발해 파업 예정 [33] hherald 2010.09.13
586 킹스톤 친환경 캡 서비스 회사 등장 file hherald 2010.09.13
위로